work:~$ cat /etc/netplan/01-network-manager-all.yaml
# Let NetworkManager manage all devices on this system
network:
version: 2
renderer: NetworkManager
virsh로 가상 환경 작업하는 거 정말 좋은데 브릿지가 간단하지 않아 정리합니다.
브릿지는 이미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을 때 쓰면 네트워크 설정하기에 정말 좋더라고요.
그냥 정말 PC가 하나 더 있는 것처럼 할 수 있어요.
기본으로 있는 환경이 nat 구성인데 공유기 없는 환경이라면 이렇게 사용하는 게 좋아요.
대신 서버 테스트하려면 포트 포워딩을 별도로 해야 해요.
지금 직업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장치 이름을 확인해두세요.
ifconfig 명령어로 확인했어요.
enp3s0 부분을 참고합니다. 환경마다 다를 수 있어요.
work:~$ ifconfig
enp3s0: flags=4163<UP,BROADCAST,RUNNING,MULTICAST> mtu 1500
inet6 fe80::ac93:8095:51d7:870d prefixlen 64 scopeid 0x20<link>
ether 2c:f0:5d:b8:0a:99 txqueuelen 1000 (Ethernet)
RX packets 8744608 bytes 8076624382 (8.0 GB)
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
TX packets 6120209 bytes 4710661564 (4.7 GB)
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
device memory 0xad200000-ad2fffff
우분투에 있는 netplan을 이용합니다.
cat /etc/netplan/01-network-manager-all.yaml 명령어로 내용을 먼저 확인해보세요.
work:~$ cat /etc/netplan/01-network-manager-all.yaml
# Let NetworkManager manage all devices on this system
network:
version: 2
renderer: NetworkManager
이 부분을 수정합니다. 작업 시 갑자기 인터넷이 안될 수 있으니 인터넷 사용 중인 작업이 있다면 조심하세요.
원격으로 작업하고 있다면 더 조심하세요. 아예 원격으로 이런 작업은 추천하지 않습니다.
vi 명령어로 열어서 내용을 조금 수정하고 추가합니다.
사실 그대로 붙여넣기 해서 enp3s0 부분만 수정해도 됩니다.
# Let NetworkManager manage all devices on this system
network:
version: 2
renderer: networkd
ethernets:
enp3s0:
dhcp4: false
bridges:
br0:
dhcp4: true
interfaces: [enp3s0]
고정 아이피는 이렇게 설정 합니다.
# Let NetworkManager manage all devices on this system
network:
version: 2
renderer: networkd
ethernets:
enp3s0:
dhcp4: false
bridges:
br0:
interfaces: [enp3s0]
dhcp4: true
addresses: [192.168.0.70/24]
gateway4: 192.168.0.1
nameservers:
addresses: [8.8.8.8, 8.8.4.4]
혹시 우분투 최신 버전이라면 gateway4 지원하지 않는 옵션이라고 나올 수 있어요.
# 오류내용
** (process:114396): WARNING **: 14:22:13.719: `gateway4` has been deprecated, use default routes instead.
See the 'Default routes' section of the documentation for more details.
최신 우분투 22.04 이상에서는 아래처럼 고정 아이피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# Let NetworkManager manage all devices on this system
network:
version: 2
renderer: networkd
ethernets:
enp3s0:
dhcp4: false
bridges:
br0:
interfaces: [enp3s0]
dhcp4: true
dhcp6: false
addresses: [192.168.0.70/24]
routes:
- to: default
via: 192.168.0.1
nameservers:
addresses: [8.8.8.8, 8.8.4.4]
설정을 적용하기 위해 적용 명령어를 하세요
sudo netplan apply
virsh 로 브릿지 네트워크를 추가하기 위해서 설정 파일을 하나 생성합니다.
그대로 붙여 넣기 해도 됩니다.
# sudo vi /etc/br0.xml
<network>
<name>br0</name>
<forward mode='bridge' />
<bridge mode='br0' />
</network>
만든 파일로 적용하기 위해 virsh 명령어를 실행하세요
sudo virsh net-define /etc/br0.xml
설정이 잘 들어가 있는지 확인하세요.
work:~$ sudo virsh net-list --all
Name State Autostart Persistent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br0 inactive no yes
default active yes yes
네트워크를 시작시켜요
sudo virsh net-start br0
신규 브릿지 네트워크가 자동 시작되도록 설정해요
sudo virsh net-autostart br0
다 끝났습니다.
이제 적용하고 싶은 가상 PC에서 브릿지 네트워크를 설정해요.
실행 중이라면 종료합니다.
네트워크 소스 부분에는 새로 생긴 br0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브릿지 장치라고 해야 합니다.
장치 이름에 br0를 입력해서 저장하세요.
'Linux 리눅스 > 우분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u 명령어 숨김 폴더보기 hidden directories (0) | 2022.08.28 |
---|---|
우분투 22.04에서 스크린샷 프로그램 예전 처럼 사용하기 (0) | 2022.08.26 |
wsl2 가상 윈도우 11 환경에서 사용하기 kvm 0x80370102 (0) | 2022.08.02 |
우분투 webp 확장자 보기 (0) | 2022.06.05 |
우분투 영상을 움직이는 gif로 변환하는 명령어 (0) | 2021.12.29 |
댓글